본문 바로가기

한능검 기출

20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번 20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번 같이 볼게요. 문제 풀어보시고 관련내용 한번 떠올려 보시고 해설 읽어 주세요. ①(가) - 신성지역인 소도가 존재한다. ②(가) -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③(나) - 읍락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④(나) - 왕 아래 상가,고추가등 대가들이 있었다. ⑤(가),(나) -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군과 왜에 수출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선사시대 초기연맹국가 같은경우에 사료가 굉장히 부족합니다. 이 문제에서도 자료의 출처를 보면 중국측 자료인 삼국지입니다. 중국측 자료이기때문에 우리에 관한 이야기가 굉장히 단편적입니다. 결국 우리는 우리의 옛모습을 중국측 매우 단편적인 이야기로 추론할 수 밖에없게되었고 국사교과서도 이 사료를 근거로 .. 더보기
20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1번 20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고급 1번 문제 볼게요. 이제막 공부하신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써볼게요. ①빗살무늬 토기를 제작하였다. ②주로 동굴이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다. ③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 ④계급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 생활을 하였다. ⑤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사용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비파형동검은 동검입니다. 비파형 동검은 동으로 만들어진 검이기 때문에 약한검이었습니다. 돌칼이랑 부딪히면 깨질정도로 약한검이었습니다. 그럼 이것을 어디에 썼느냐 현재 추측하기로는 제사의식에 쓰이는 상징적 물건이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이 물건을 이해하기위해 중요한점은 선사시대에는 종교와 정치가 하나인 제정일치 사회였다는 점입니다.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한 고조선 또한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