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기출 해설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보겠습니다. 문 1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옷차림은 신분의 귀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근래 이것이 문란해져 상민․천민들이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을 마치 조정의 관리나 선비와 같이 한다. 진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심지어 시전 상인들이나 군역을 지는 상민들까지도 서로 양반이라 부른다. ① 불교의 신앙 조직인 향도가 널리 확산되었다. ② 서얼의 청요직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③ 양민의 대다수를 차지한 농민을 백정(白丁)이라고 하였다. ④ 선현 봉사(奉祀)와 교육을 위한 서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자료에 제시된 상황은 조선후기의 사회 모습입니다. 양난이후로 조선은 신분..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보겠습니다. 11. 밑줄 친 '왕'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왕 재위 2년에 전진 국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며 불상과 경문을 전해왔다. (이에 우리) 왕께서 사신을 보내 사례하며 토산물을 보냈다. 왕 재위 5년에 비로소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또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아도를 머물게 하였다. 이것이 해동 불법(佛法)의 시작이었다. -삼국사기- ①역사서인 신집을 편찬하였다. ②진휼 제도로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③유학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치하였다. ④왜에 종이와 먹의 제작 방법을 전해 주었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이 왕은 고구려의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소수림왕입니다. 이 당시 고구려는 위기상황이었습니다. 전연(선비족)의 공격으로 수도가 함락되..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같이 보겠습니다. 9.임진왜란 떄의 주요 전투를 벌어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ㄴ. 조선과 명나라 군대가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ㄷ. 진주목사 김시민이 왜의 대군을 맞아 격전 끝에 진주성을 지켜냈다. ㄹ.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의 수군을 격퇴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①ㄱ→ㄴ→ㄷ→ㄹ ②ㄱ→ㄷ→ㄴ→ㄹ ③ㄹ→ㄴ→ㄷ→ㄱ ④ㄹ→ㄷ→ㄴ→ㄱ 해설 답은 4번이다. 임진왜란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이다. 조선은 200년간의 평화로 인해 국방력이 굉장히 약화 되었다. 그 이유는 군역(대립제,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이 문란해진 상황 때문이었다. 따라서 군적에 등록된 인원보다 실제 군인은 더 적은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같이 보겠습니다.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들의) 집에는 녹(綠)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①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돌무지 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④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해설 답은 4번이다. 신라에는 골품제도가 존재하였다 이 골품제도는 6세기 법흥왕부터 7세기까지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족장 세력을 대상으로 편제한 제도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