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공무원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8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8번 보겠습니다. 18. 전시과 제도의 변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가) 제도에 대한 의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시정전시과 → 개정전시과 → (가) (경종 1년,976) (목종 1년,998) (문종30년,1076) ㄱ. 4색 공복을 기준으로 등급을 나누었다. ㄴ. 산직이 전시의 지급 대상에서 배제되었다. ㄷ. 등급별 전시의 지급 액수가 전보다 감소하였다. ㄹ. 무반과 일반 군인에 대한 대우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 다. ①ㄱ, ㄴ ②ㄷ, ㄹ ③ㄱ, ㄴ, ㄷ ④ㄴ, ㄷ, ㄹ 해설 답은 4번입니다. (가)는 문종때 시행한 경정(更定)전시과 입니다. 신라말 혼란한 상황에서 백성들은 수탈의 대상이었습니다. 세율이 굉장히 높았고 국가도 세를 걷고 지방의 호족들도 세를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6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6번 보겠습니다. 16.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추진한 정부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외국 사람들이 조계지를 지키지 않고 도성의 좋은 곳에 있는 집은 후한 값으로 사고 터를 넓히니 잔폐(殘廢)한 인민의 거주지가 침범을 당한다. 또한 여러 해 동안 도로를 놓고 있기 때문에 집들이 줄어들었다. 탑동(塔洞)등지에 집을 헐고 공원을 만든다 하니 ···(중략)··· 결국 집 없는 사람이 태반이 될 것이다. -매일신문- ①경운궁을 정궁으로 삼았다. ②한성은행, 대한 천일은행 등 민족계 은행을 지원하였다. ③중추원을 개조하여 우리 옛 법령과 풍속을 연구하였다. ④한성전기회사를 통하여 서울에 전차노선을 개통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매일신문은 황성신문,제국신문과 더불어 광무개혁..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보겠습니다. 11. 밑줄 친 '왕'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왕 재위 2년에 전진 국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며 불상과 경문을 전해왔다. (이에 우리) 왕께서 사신을 보내 사례하며 토산물을 보냈다. 왕 재위 5년에 비로소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또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아도를 머물게 하였다. 이것이 해동 불법(佛法)의 시작이었다. -삼국사기- ①역사서인 신집을 편찬하였다. ②진휼 제도로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③유학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치하였다. ④왜에 종이와 먹의 제작 방법을 전해 주었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이 왕은 고구려의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소수림왕입니다. 이 당시 고구려는 위기상황이었습니다. 전연(선비족)의 공격으로 수도가 함락되..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6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6번 같이 보도록 할게요. 여유되는 시간에 읽어주세요. 6.개항기 체결된 통상 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일 통상장정(1876) - 곡물 유출을 막는 방곡령 규정이 합의 되었다. ②조·청 수륙무역장정(1882) - 서울에서 청국 상인의 개점이 허용되었다. ③개정 조·일통상장정(1883) - 일본과 수출입하는 물품에 일정세율이 부과되었다. ④한·청 통상조약(1899) - 대한제국 황제와 청 황제가 대등한 위치에서 조약을 체결하였다. 해설 정답은 ①이다 방곡령에 관해 근거가 되는 조약은 조일 통상 장정(1883)이다. 조·일 통상장정(1876)에서 무관세와 무제한적인 곡물유출을 막기위해서 조일 통상 장정(1883)을 통해 조선은 관세조항과 방곡령 조항을 얻는다...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5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5번 문제 같이 볼게요. 짬나는 시간에 읽어 주세요. 5. 밑줄 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5명의 개화당이 사건을 일으켜서 나라를 위태롭게 한 다음 청나라 사람의 억압과 능멸이 대단하였다. (중략) 종전에는 개화가 이롭다고 말하면 그다지 싫어하지 않았으나 이 사건 이후 조야(朝野) 모두 '개화당은 충의를 모르고 외인과 연결하여 매국배종(賣國背宗)하였다'고 하였다. -윤치호의 일기- ①정동구락부 세력이 주도하였다. ②일본군과 함께 경복궁을 침범하였다. ③차관 도입을 위한 수신사 파견의 계기가 되었다. ④일본 공사관이 불타고 일본군이 청군에 패퇴하였다. 해설 윤치호의 일기에서 말하는 사건은 갑신정변을 말한다. 답은 ④이다. 내부적으로 임오군란(1882)이후에 청..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2번 2016국가직 한국사 2번문제 같이 보도록 할게요. 짜투리시간에 읽어주세요. 2.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즉위하여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의 관제 개혁을 추친하는 한편, 권세가들의 농장을 견제하고 소금 전매제를 실시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①만권당을 통해 고려와 원나라 학자들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②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펴하여 국정을 총괄하게 하였다 ③철령 이북의 영토 귀속 문제를 계기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다 ④기철을 비롯한 부원 세력을 숙청하고 자주적 반원개혁을 추진하였다 해설 그는 충선왕이다. 답은 ① 충선왕은 충렬왕을 잇는 왕이다 시호에서 볼 수 있듯이 충(忠)은 원에대한 충을 말한다. 그는 고려가 원의 부마국이 되면서 충렬왕과 원의 쿠빌라이칸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