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해설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6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6번 보겠습니다. 16.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추진한 정부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외국 사람들이 조계지를 지키지 않고 도성의 좋은 곳에 있는 집은 후한 값으로 사고 터를 넓히니 잔폐(殘廢)한 인민의 거주지가 침범을 당한다. 또한 여러 해 동안 도로를 놓고 있기 때문에 집들이 줄어들었다. 탑동(塔洞)등지에 집을 헐고 공원을 만든다 하니 ···(중략)··· 결국 집 없는 사람이 태반이 될 것이다. -매일신문- ①경운궁을 정궁으로 삼았다. ②한성은행, 대한 천일은행 등 민족계 은행을 지원하였다. ③중추원을 개조하여 우리 옛 법령과 풍속을 연구하였다. ④한성전기회사를 통하여 서울에 전차노선을 개통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매일신문은 황성신문,제국신문과 더불어 광무개혁..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5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5번 보겠습니다. 15. 다음 선언문을 강령으로 했던 단체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는 일본 강도 정치 즉 이족 통치가 우리 조선 민족 생존의 적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 수단으로 우리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살벌함이 곧 우리의 정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①민족혁명당 창당에 가담하였다. ②경성 부민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③일본 제국의회와 황궁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④임시정부 요인과 제휴한 투탄 계획을 추진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자료는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입니다. 의열단(김원봉)의 부탁으로 신채호 선생은 조선혁명선언을 저술해줍니다. 의열단은 민중의 직접 혁명(폭력)으로 강도 일본을 구축하려한 무정부주의 단체입니다. 조선혁명선언은 외교론, 자치..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4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4번 보겠습니다. 14. 밑줄 친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사람은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지만 곧 모친상을 당하여 3년간 상복을 입었다. 삼년상이 끝나고 관직에 복귀하였으나 을사사화 들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이내 관직 생활의 뜻을 접고, 1546년 40대 중반의 나이에 향리로 퇴거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후 경상도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대한 사액을 청원하여 실현을 보게 되었으니, 이것이 조선 왕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다. ①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②아홉 차례의 과거 시험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③주희의 성리설을 받아들였으며,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같이 보겠습니다. 9.임진왜란 떄의 주요 전투를 벌어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ㄴ. 조선과 명나라 군대가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ㄷ. 진주목사 김시민이 왜의 대군을 맞아 격전 끝에 진주성을 지켜냈다. ㄹ.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의 수군을 격퇴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①ㄱ→ㄴ→ㄷ→ㄹ ②ㄱ→ㄷ→ㄴ→ㄹ ③ㄹ→ㄴ→ㄷ→ㄱ ④ㄹ→ㄷ→ㄴ→ㄱ 해설 답은 4번이다. 임진왜란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이다. 조선은 200년간의 평화로 인해 국방력이 굉장히 약화 되었다. 그 이유는 군역(대립제,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이 문란해진 상황 때문이었다. 따라서 군적에 등록된 인원보다 실제 군인은 더 적은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