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한국사 기출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보겠습니다. 문 1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옷차림은 신분의 귀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근래 이것이 문란해져 상민․천민들이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을 마치 조정의 관리나 선비와 같이 한다. 진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심지어 시전 상인들이나 군역을 지는 상민들까지도 서로 양반이라 부른다. ① 불교의 신앙 조직인 향도가 널리 확산되었다. ② 서얼의 청요직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③ 양민의 대다수를 차지한 농민을 백정(白丁)이라고 하였다. ④ 선현 봉사(奉祀)와 교육을 위한 서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자료에 제시된 상황은 조선후기의 사회 모습입니다. 양난이후로 조선은 신분..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보겠습니다. 문 17.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①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②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③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④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2번은 성종 때 경기도 시흥의 농법에 대하여 강희맹이 쓴 금양잡록입니다. 자료에..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보겠습니다. 문 13. 다음 내용이 포함된 개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사 노비 제도를 모두 폐지하고, 인신 매매를 금지한다.○ 연좌법을 폐지하여 죄인 자신 외에는 처벌하지 않는다.○ 과부의 재혼은 귀천을 막론하고 그 자유에 맡긴다. ① 중국 연호의 사용을 폐지하였다.② 독립 협회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③ 군국기무처의 주도 하에 추진되었다.④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 독립 협회는 아관파천 이후 친러,친미내각이 등장하고 열강의 이권침탈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습니다. 자료의 내용은 1차갑오개혁에 관한 설명입니다.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기 위해서 민비가 청에게 군대를 요청하게됩니다. 청군은 아산만으로 진입..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9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9번 보겠습니다. 19. (가)와 (나) 시기 고조선에 대한 의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고른 것은? ㄱ. (가) - 왕 아래 대부, 박사 등의 직책이 있었다.ㄴ. (가) - 고조선 지역에 한(漢)의 창해군이 설치되었다.ㄷ. (나) -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며, 중계무역의 이득을 취하였다.ㄹ. (나) - 비파형동검과 고인돌의분포를 통하여 통치지역을 알 수 있다. ① ㄱ, ㄷ② ㄱ, ㄹ③ ㄴ, ㄷ④ ㄴ, ㄹ 해설답은 1번입니다.고조선은 B.C 2333년에 단군왕검에 의해서 건국되었습니다. 청동기와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여러 족장 사회를 통합하여 국가를 형성하여 나갔습니다. 단군왕검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제정일치(정치와 종교의 미분화)의 사회였습니다. 또한, 단군신화를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3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3번 13. 다음 자료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래 세상의 도리가 점점 썩어가서 돈 있고 힘 있는 백성들이 갖은 방법으로 군역을 회피하고 있다. 간사한 아전과 한통속이 되어 뇌물을 쓰고 호적을 위조하여 유학(幼學)이라 칭하면서 면역하거나 다른 고을로 옮겨 가서 스스로 양반 행세를 하기도 한다. 호적이 밝지 못하고 명분의 문란함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다 -일성록- ①사족들이 형서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②향회가 수령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되었다. ③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④부농층이 관권과 결탁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사료는 조선 후기의 신분제 질서의 동요를 설명합니다. 조선후..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보겠습니다. 11. 밑줄 친 '왕'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왕 재위 2년에 전진 국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며 불상과 경문을 전해왔다. (이에 우리) 왕께서 사신을 보내 사례하며 토산물을 보냈다. 왕 재위 5년에 비로소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또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아도를 머물게 하였다. 이것이 해동 불법(佛法)의 시작이었다. -삼국사기- ①역사서인 신집을 편찬하였다. ②진휼 제도로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③유학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치하였다. ④왜에 종이와 먹의 제작 방법을 전해 주었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이 왕은 고구려의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소수림왕입니다. 이 당시 고구려는 위기상황이었습니다. 전연(선비족)의 공격으로 수도가 함락되..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0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0번 보겠습니다. 10.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물로 바칠 벌꿀 한 말의 값은 본래 목면 3필이지만, 모리배들은 이를 먼저 대납하고 4필 이상을 거두어 갑니다.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이 법을 시행하면 부유한 양반 지주가 원망하고 시행하지 않으면 가난한 몽민이 원만한다는데, 농민의 원망이 훨씬더 큽니다. 경기와 강원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니 충청과 호남지역에도 하루빨리 시행해야 합니다. ①토지 결수를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②인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③이 법이 시행된 후에도 왕실에 대한 진상은 계속되었다. ④이 법을 시행하면서 관할 관청으로 선혜청을 설치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수취 제도 중 현물을 납부하는 공납에 관..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같이 보겠습니다.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들의) 집에는 녹(綠)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①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돌무지 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④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해설 답은 4번이다. 신라에는 골품제도가 존재하였다 이 골품제도는 6세기 법흥왕부터 7세기까지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족장 세력을 대상으로 편제한 제도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