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보겠습니다.
문 17.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①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②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③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④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2번은 성종 때 경기도 시흥의 농법에 대하여 강희맹이 쓴 금양잡록입니다.
자료에관한 설명은 세종때 만들었던 한양을 기준으로 한 우리의 역법인 칠정산입니다.
조선 초기에 집권하였던 관학파들은 부국강병을 목표로 기술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고 성리학 이외의 학문에 대해서도 배타적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조선초의 분위기는 굉장히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모습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기류는 문화에서도 나타납니다.
특히 세종시기에는 부국강병을 추구한 결과들이 나타납니다.
천문 관측 기구인 혼천의, 간의 등을 만들고 시계인 자격루와 앙부일구를 만듭니다. 또한 우량을 재는 측우기도 만들게 되는데 이는 조선이 농업국가이기 때문에 때에 맞게 농사를 짓게하기위한 도구들이었습니다. 이것의 연장선에서 우리와는 완벽하게 맞지 않았던 외국의 역법을 한양기준의 역법으로 만들어 더 정확한 절기를 파악할 수 있게됩니다.
하지만 역법임에도 ~력이라 붙이지 않은 이유는 시간의 주인은 황제만이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중국에 예속되있던 시기에는 중국의 연호를 쓰게됩니다. 역법도 마찬지로 우리가 한양을 중심으로 하는 역법을 만들어 쓰게되면 중국(명)과의 외교마찰이 있을 것을 우려해 칠정'산'이라 이름 붙이게 됩니다.
세종은 농사를 기술적으로 돕기위하여 농사직설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의학서적인 향약집성방과 의학 백과사전인 의방유취를 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지식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세종은 불편했던 밀랍을 녹여서 활자를 활판에 붙이던 방식을 바꿔 식자판 조립방식을 창안해 내게 됩니다.활자인 갑인자 또한 주조합니다.
지도와 지리지는 신찬팔도지리지와 팔도도를 제작합니다.
법서로는 육전등록을 간행하고 법의학서적인 신주무원록을 간행하기도 합니다.
'9급 지방직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0) | 2017.03.29 |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6번 (0) | 2017.03.27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5번 (0) | 2017.03.27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0) | 2017.03.27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4번 (0)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