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4번 보겠습니다.
문 14. 밑줄 친 ‘무덤 주인’이 왕위에 있었던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1971년 7월 ,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배수로 공사 도중 벽돌무덤
하나가 우연히 발견되었다. 무덤 입구를 열자, 무덤 주인을
알려주는 지석이 놓여 있었으며, 백제는 물론 중국의 남조와 왜에서 만들어진 갖가지 유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① 중앙에는 22부 관청을 두고 지방에는 5방을 설치하였다.
②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맞서 나제동맹을 처음 결성하였다.
③ 활발한 대외 정복 전쟁으로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가야를
완전히 정복하였다.
④ 지방에 22개의 담로를 두고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해설
답은 4번입니다.
자료에서 말하는 왕은 6세기 백제의 중흥을 꿈꿨던 무령왕입니다.
외적으로 무령왕은 중국 남조(양)나라와의 교류에 힘썼습니다. 그에따라 그의 무덤은 중국양식인 벽돌무덤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참고로 말하자면 그의 무덤이아닌 다른 벽돌무덤에서는 사신도가 나왔습니다. 그의 무덤에서는 그를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고 표현되어있습니다. 사료에는 이렇게 나오니 주의해주세요.
또한, 양나라에는 양나라에 온 사실들을 그려놓는 전통(?)이 있었는데 백제도 양나라와 교류를 했기때문에 '양직공도'에서 백제사신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양 나라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는 단양이와 고안무를 통해 유학 경전을 전파하였습니다. 당연한말이지만 이때의 유학은 성리학이 아닙니다. 성리학은 고려후기에 안향에 의해서 들어오게 됩니다.
내부적으로는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들을 파견하였습니다.
1번에서의 중앙을 22부의 관청을 설치하고 수도를 5부 지방을 5방으로 정비했던왕은 성왕입니다. 백제는 행정조직정비가 늦는 것이 특징입니다.
2번의 나제동맹을 처음맺은 백제와 신라의 왕은 비유왕과 눌리마립간입니다.
3번은 대가야를 멸망시키고 가야를 끝장낸 진흥왕입니다.
'9급 지방직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5번 (0) | 2017.03.27 |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0) | 2017.03.27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1번 (0) | 2017.01.11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0번 (0) | 2017.01.10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9번 (0) |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