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9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9번 보겠습니다. 9. (가)와 (나)를 주장한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가) 서양 종교는 사교이므로 마땅히 음탕한 음악이나 미색 처럼 여겨서 멀리해야겠지만, 서양 기계는 이로워서 진실로 백성의 생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나) 오늘날 급선무는 인재를 등용하며 국가 재정을 절약 하고 사치를 억제하며, 문호를 개방하고 이웃나라와 친선을 도모하는 데 있다. …(중략)… 일본은 법을 변경한 이후로 모든 것을 바꾸었다[更張]고 한다. ① (가)-개벽 사상을 담은 동학을 창도하였다. ② (가)-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청국 군대의 개입을 요청하였다. ③ (나)-만동묘 철폐를 주도하였다. ④ (나)-보부상단을 통괄하는 혜상공국의 설치를 주장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가)는 임오..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8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8번 보겠습니다. 8. 고려시대의 조운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양계에서는 조세를 현지 경비로 사용하였다. ② 조창에서 개경까지의 운반은 조창민이 담당하였다. ③ 조운량이 증가하자 주교사 소속의 배를 이용하였다. ④ 조운 기간은 일반적으로 2월부터 5월이었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굉장히 지엽적인 문제입니다. 조선에서도 함경도와 평안도 지역은 군사적 이유와 외교적이유로 잉류지역이었습니다. 고려도 마찬가지 입니다. 조선에서도 운반은 조창민이 담당하였고 후기로 갈수록 문제가 생겨 결국 경강상인들이 이일을 맡게 됩니다. 정조는 화성으로 행차하기 위해서 배다리를 건설하게 되는데 이것을 맡아서 하던 관청이 주교사입니다. 배주(舟)에 다리교(橋) 말그대로 배다리를 임시..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6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6번 보겠습니다. 7. 밑줄 친 ‘대왕’이 재위하던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우리 왕후께서는 좌평 사택적덕의 따님으로 …(중략) … 기해년 정월 29일에 사리를 받들어 맞이하셨다. 원하오니, 우리 대왕의 수명을 산악과 같이 견고하게 하시고 치세는 천지와 함께 영구하게 하소서. ① 사비의 왕흥사가 낙성되었다. ② 22담로에 왕족을 보냈다. ③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편찬하였다. ④ 노리사치계가 왜에 불상과 불경을 전하였다. 해설 답은 1번입니다. 자료는 익산 미륵사지 석탑 해체과정에서 나온 사리봉안기 내용입니다. 서동요로 유명한 백제 무왕의 부인이 사택적덕의 딸이라는 사실이 나와 한때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아마 2번째 부인이지 않을까 합니다. 관산성에서 성왕이 전사한 후 국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