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보겠습니다. 문 1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옷차림은 신분의 귀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근래 이것이 문란해져 상민․천민들이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을 마치 조정의 관리나 선비와 같이 한다. 진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심지어 시전 상인들이나 군역을 지는 상민들까지도 서로 양반이라 부른다. ① 불교의 신앙 조직인 향도가 널리 확산되었다. ② 서얼의 청요직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③ 양민의 대다수를 차지한 농민을 백정(白丁)이라고 하였다. ④ 선현 봉사(奉祀)와 교육을 위한 서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자료에 제시된 상황은 조선후기의 사회 모습입니다. 양난이후로 조선은 신분..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보겠습니다. 문 17.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①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②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③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④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2번은 성종 때 경기도 시흥의 농법에 대하여 강희맹이 쓴 금양잡록입니다. 자료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