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6번 보겠습니다.
7.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숙종의 동생이었던 의천에 관한 설명입니다. 의천은 숙종에게 주전도감의 설치를 건의해서 그곳에서 주화폐인 은병과 보조 화폐인 동전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를 제작했습니다. 의천은 종파를 통합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흥왕사를 근거지로 화엄종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였고 국청사(숙종)를 창건하여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였습니다. 이 때의 사상은 교관겸수와 내외겸전입니다. 이러한 활동은 의천이 왕자출신이었기 때문에 왕실과 문벌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불교의 사회,경제적 폐단에 대한 개혁의지가 미흡하고 사실상 힘으로 이룬 통합이었기때문에 의천 사후 교단은 분열 되었습니다. 형인 선종시기에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교장의 목차인 '신편제종교장총록'을 간행하였습니다. 숙종시기에는 교장도감에서 교장을 간행하였습니다. 교장의 간행은 원효사상을 중심으로한 신라불교의 전통을 이어받은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교장에는 각 국의 불교 학술이 써있고 선종관련 서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교종은 교종중심의 교리정리를 한것입니다. 저술로는 '원종문류'와 '석원사림'이 있습니다 숙종은 형 선종의 아들인 헌종의 왕위를 찬탈하여서 왕이되었습니다. 숙종은 사학에 밀려있던 관학을 진흥시키기 위한 정책으로 국자감에 서적포를 설치하여 서적을 간행했습니다. 말년에 여진족의 침략을 받게 되자 윤관의 건의로 별무반을 창설하였습니다.
주전도감에서 왕에게 아뢰기를 “백성들이 화폐를 사용하는
유익함을 이해하고 그것을 편리하게 생각하고 있으니 이
사실을 종묘에 알리십시오.”라고 하였다. 이 해에 또 은병을 만들어 화폐로 사용하였는데,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의
지형을 본떠서 만들었고 민간에서는 활구라고 불렀다.
①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목사를 파견하였다.
② 여진 정벌을 위해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을 설치하였다.
③ 지방 호족을 견제하기 위해 사심관과 기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④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과거 제도를 시행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9급 지방직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9번 (0) | 2017.01.09 |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8번 (0) | 2017.01.08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6번 (1) | 2017.01.05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5번 (0) | 2017.01.04 |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4번 (0) | 2017.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