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3번
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3번 보겠습니다. 3. 다음 ㉠의 주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려 시기에 ㉠ 은(는) 금, 은, 구리, 쇠 등 광산물을 채취하거나 도자기, 종이, 차 등 특정한 물품을 생산하여 국가에 공물로 바쳤다. ① 군현민과 같은 양인이지만 사회적 차별을 받았다. ② 죄를 지으면 형벌로 귀향을 시키는 처벌을 받았다. ③ 지방 호족 출신으로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④ 재산으로 간주되어 매매․상속․증여의 대상이 되었다. 해설 답은 1번입니다. 차별받는 양민이 거주했던 향,소,부곡중 소에관한 설명입니다. 향(농업), 부곡(농업), 소(수공업,광업)는 반란 지역이나 규모가 작은 지역에 설치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차별받는 양민들이 거주했던 역(육로교통), 진(수로교통)이..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2번
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2번 보겠습니다. 2. 다음과 같은 문서가 작성되었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지는 논, 밭, 촌주위답, 내시령답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고, 사람들은 인구, 가호, 노비의 수와 3년 동안의 사망, 이동 등 변동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 밖에 소와 말의 수, 뽕나무, 잣나무, 호두나무의 수까지 기록하였다. ① 관료에게는 관료전을, 백성에게는 정전을 지급하였다. ② 인구는 남녀 모두 연령에 따라 6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③ 전국을 9주로 나누고, 주 아래에는 군이나 현을 두어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④ 국가에 봉사하는 대가로 관료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는 전시과 제도를 운영하였다. 해설 답은 4번입니다. 자료는 통일신라 시대의 작성된 민정문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