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국가직 한국사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3번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3번

 

13. 다음 자료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래 세상의 도리가 점점 썩어가서 돈 있고 힘 있는 백성들이 갖은 방법으로 군역을 회피하고 있다. 간사한 아전과 한통속이 되어 뇌물을 쓰고 호적을 위조하여 유학(幼學)이라 칭하면서 면역하거나 다른 고을로 옮겨 가서 스스로 양반 행세를 하기도 한다. 호적이 밝지 못하고 명분의 문란함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다                 

                                                   -일성록-

 

①사족들이 형서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②향회가 수령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되었다.

③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④부농층이 관권과 결탁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사료는 조선 후기의 신분제 질서의 동요를 설명합니다.

조선후기에 들어서 절대적인 양반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양반내부에서 분화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양반들은 자신들의 지위를 유지하기위해서 노력합니다.

 

동족 마을을 형성하여서 양반으로서의 권위를 유지하려합니다. 사우(조상 봉사)를 건립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려합니다. 또한 군현 단위로 실시되던 향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자 자신의 마을 안에서라도 인정받고자 향약을 자신들의 마을안에서 실시합니다.(동약)

 

일부의 농민들은 부농(신향)으로 성장해서 기존의 사족세력들(구향)과 향권을 놓고 향전을 벌이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해관계가 맞은 수령은 신향들과 손을 잡게 됩니다.

 

부농층은 자신들의 경제적 지위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더 인정 받기를 원했고 정부는 재정 위기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탁이 이루어졌습니다. 정부는 합법적으로 향직을 부농에게 매매하여 자연스럽게 부농들이 향권에 도전할 수 있게 되었고 수령은 부세 수취에 협조적인 신향층을 옹호하면서 기존 사족들의 힘을 약화 시켰습니다.

 

하지만 관권이 강화됨에 따라 향리(아전)들이 중간에서 농간을 부리는 일이 잦아지게 되었습니다. 향회는 그 동안 재지 사족의 이익을 대변하면서 수령의 권력을 견제하는 역할을 해왔으나 견제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향회는 단순한 수령의 세금 부과시 자문기구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사족들이 주관하던 향약의 주관권을 정조는 수령에게 넘겨주게 되면서 수령은 더욱 강해지게 됩니다.

 

수령에대한 견제가 이렇게 무너지게 되면서 세도정치시기에 더욱 더 백성에 대한 수탈이 심화되게됩니다.

정조는 이렇게 견제가 없어지면 결국 문제가 생길 것을 예측하고 엄청난 수의 암행어사를 파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정조사후 세도정치가 시작되면서 수령직은 매매의 대상이 되었고 수령들은 돈을 다시 메꾸기위해서 백성들을 수탈하게 됩니다. 이전의 문제에서도 설명드렸지만 정조의 목적은 부농층을 정치적세력으로 성장시켜서 개혁을 이루려 하였던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