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4번 보겠습니다.
14. 밑줄 친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사람은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지만 곧 모친상을 당하여 3년간 상복을 입었다. 삼년상이 끝나고 관직에 복귀하였으나 을사사화 들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이내 관직 생활의 뜻을 접고, 1546년 40대 중반의 나이에 향리로 퇴거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후 경상도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대한 사액을 청원하여 실현을 보게 되었으니, 이것이 조선 왕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다.
①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②아홉 차례의 과거 시험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③주희의 성리설을 받아들였으며, 이기철학에서 이의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④우주자연은 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남인들이 스승으로 모셨던 이황에 관한 설명입니다.
성리학은 남송의 학문입니다. 성리학이 만들어지던 시기는 송나라가 금나라에 밀려 남쪽으로 가게되면서 성립한 학문입니다. 성리학은 이기중에 이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문입니다. 비록 송나라가 중원을 빼앗기고 남쪽으로 갔지만(기) 정통성은 송나라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성리학의 성립과정을 보면 당연하게도 성리학은 이를 중시하는 학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사상적인 분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중에서도 이황을 스승으로 섬기던 남인들은 이상주의자들 이었습니다. '이'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입니다.
이황은 이기원론이라하여 이와 기는 섞이지 않는다고 하였고 이존기비라 하여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경험적 현실 세계보다는 도덕적 원리문제에에 치중하였습니다.(인간의 심성을 중시)
근본적이면서 이상주의적인 이황의 학문은 현실적이고 개혁적인 성격(기)보다는 신분 질서와 윤리 확립을 중시하였습니다.
저서로는 성학십도(성학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 주자서절요(주자대전의 요약서), 전습록논변(양명학 비판)이 있습니다.
이이의 성학집요는 현명한 신하가 군주에게 성학을 가르쳐 기질을 변화시킬것을 주장한것과는 달리 이황의 성학십도는 군주 스스로가 성학을 따를 것을 제시합니다.
이황은 예안향약을 보급하였고 앞서 본 것처럼 남인들이 스승으로 모시면서 영남학파(유성룡,김성일)를 형성하였습니다.
남인이었던 강항이 임진왜란당시 잡혀가면서 이황의 성리학이 일본에 전파되게 됩니다.
-이황의 성학십도-
'9급 국가직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6번 (0) | 2016.12.28 |
---|---|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5번 (1) | 2016.12.27 |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3번 (0) | 2016.12.24 |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2번 (1) | 2016.12.23 |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1번 (2) | 201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