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급 국가직 한국사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5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5번 보겠습니다. 6.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평서대원수는 급히 격문을 띄우노니 관서의 부로자제와 공․사천민은 모두 이 격문을 들으라. …(중략)…조정에서 관서를 버림이 분토와 다름없다. 심지어 권세가의 노비도 서토의 사람을 보면 반드시 ‘평한(平漢)’이라고 말한다. (나) 백성들이 소동을 일으킨 것은 우병사 백낙신이 탐욕을 부려 침학하였기 때문입니다. 환포와 도결 6만 냥을 가호(家戶)에 배정하여 백징(白徵)하였으므로 백성들이 봉기했던 것입니다. ① 정약용이 유배 중 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②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③ 이승훈이 사행 중 천주교 세례를 받고 돌아왔다. ④ 양헌수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였다. 해설 답은..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4번 2016 7급 국가직 한국사 4번 보겠습니다. 4.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운요호 사건으로 조선은 일본과 ㉠조․일수호조규를 체결 하였고, 몇 달 후에는 부속으로 ㉡조․일수호조규 부록과 ㉢조․일무역규칙을 약정하였다. ① ㉠-개항장에서 일본화폐의 유통을 허용하였다. ② ㉡-일본국 항해자가 조선의 연해를 자유롭게 측량하도록 허가하였다. ③ ㉢-일본정부 소속의 선박에는 항세를 면제하였다. ④ ㉠, ㉡, ㉢-일본인 범죄자에 대한 영사재판을 허용하는 조항이 모두 들어 있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19c 중엽 일본에서는 미국의 함포외교에 굴복한 막부정권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일왕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체제가 성립을 하게 됩니다. 기존의 일본의 막부정권은 쓰시마(대마도)의 도주를 통해서 조선과..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3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3번 보겠습니다. 3. 조선시대의 법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국대전-성종대 육전체제의 법전으로 완성하였다. ② 대전회통-법규교정소에서 만국공법에 기초하여 제정하였다. ③ 대전통편-18세기까지의 법령을 모아 원․속․증 표식으로 체계화하였다. ④ 속대전-영조가 직접 서문을 지어 간행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대전회통은 대원군이 만든 법전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사회는 계속 변화하므로 그에 맞는 법규 체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경국대전 이후에도 계속해서 조선의 사회는 변화하였고 그에 따른 법전이 필요해져서 새로운 법전들이 나오게 됩니다. 대전회통은 조선최후의 법전입니다. 정조(대전통편)이후에 고종까지 추가된 법령들이 대전회통에는 수록 되어있고 ..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2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2번 문제 같이 보겠습니다. 2. 괄호 안에 들어갈 고려시대의 정치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초에 ( )을(를) 설치하여 시중․평장사․참지정사․ 정당문학․지문하성사로 판사(判事)를 삼고, 판추밀 이하로 사(使)를 삼아 일이 있을 때 모였으므로 합좌(合坐)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그런데 한 해에 한 번 모이기도 하고 여러 해 동안 모이지 않기도 하였다. -역옹패설- ① 군사 기밀과 왕명 전달을 담당하였다. ② 화폐와 곡식의 출납, 회계의 일을 맡았다. ③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다. ④ 양계의 축성 및 군사훈련 등 국방문제를 논의하였다. 해설 답은 4번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당의 3성 6부제를 본따서 만든 통치조직을 토대로 통치를 하였습니다. ..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번 보겠습니다. 1. 청동기시대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① 정교하고 날카로운 간돌검을 사용하였다.② 빗살무늬토기에 도토리 등을 저장하였다. ③ 유적으로는 상원 검은모루, 공주 석장리 등이 있다. ④ 주먹도끼, 찍개 등 돌로 된 사냥 도구를 만들었다. 해설 답은 1번입니다. 청동기는 주로 장식용이자 제사용으로 많이 쓰였습니다. 청동은 경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청동기 시대에는 여전히 실생활에서는 돌과 나무로 만든 도구를 이용했습니다. 대표적인것이 이삭을 자르는데 쓰였던 반달돌칼과 나무를 베고 땅을 가는데 쓰였던 돌자귀 입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농업의 비중이 증가하자 강근처 평야의 야산지대에 모여 살았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