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8번 보겠습니다. 문 18.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옷차림은 신분의 귀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근래 이것이 문란해져 상민․천민들이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을 마치 조정의 관리나 선비와 같이 한다. 진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심지어 시전 상인들이나 군역을 지는 상민들까지도 서로 양반이라 부른다. ① 불교의 신앙 조직인 향도가 널리 확산되었다. ② 서얼의 청요직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③ 양민의 대다수를 차지한 농민을 백정(白丁)이라고 하였다. ④ 선현 봉사(奉祀)와 교육을 위한 서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자료에 제시된 상황은 조선후기의 사회 모습입니다. 양난이후로 조선은 신분..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7번 보겠습니다. 문 17.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①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②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③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④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2번은 성종 때 경기도 시흥의 농법에 대하여 강희맹이 쓴 금양잡록입니다. 자료에..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6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6번 보겠습니다. 문 16. (가) ~(라)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가) -국정을 총괄하는 교정도감이 처음 설치되었다. ② (나) -망이․망소이 등 명학소민이 봉기하였다. ③ (다) -금속활자로 상정고금예문을 인쇄하였다. ④ (라) -고려대장경을 다시 조판하여 완성 하였다. 해설 답은 3번입니다. 고려 무신 정권을 이해했는가에 관한 문제입니다. 고려사회가 문벌귀족들에 의해서 장악되면서 무신들에 의한 차별이 심해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거란의 침략을 물리치는등의 공적으로 인해서 경정전시과에서는 무신들의 대우가 좋아지기도 하였으나 제도적으로도 무신들은 상한이 정해져있었고 사회가 보수화될 수록 문신들에의한 무신들의 멸시가 심해져 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5번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보겠습니다. 문 15.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묘청의 천도 운동에서 그가 패하고 묘청이 이겼더라면조선사는 독립적․진취적으로 진전하였을 것이니 이것이어찌 일천년래 제일 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 ① 성리학적 유교 사관에 입각한 사략을 저술하였다.②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최고(最古) 역사서를 편찬하였다.③ 우리나라 역사를 단군에서부터 서술한 역사서를 저술하였다.④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인 동명왕편을 저술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자료는 신채호가 평가했던 묘청의 난입니다.그는 김부식입니다. 김부식은 보수화된 문벌귀족의 대표로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을 진압하였습니다. 그는 신라출신으로서 고려가 고구려를 이은 나라가 아닌 신라가 이은 나라라고 생각하.. 더보기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a책형 기준 2016 지방직 9급 한국사 13번 보겠습니다. 문 13. 다음 내용이 포함된 개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사 노비 제도를 모두 폐지하고, 인신 매매를 금지한다.○ 연좌법을 폐지하여 죄인 자신 외에는 처벌하지 않는다.○ 과부의 재혼은 귀천을 막론하고 그 자유에 맡긴다. ① 중국 연호의 사용을 폐지하였다.② 독립 협회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③ 군국기무처의 주도 하에 추진되었다.④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 독립 협회는 아관파천 이후 친러,친미내각이 등장하고 열강의 이권침탈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습니다. 자료의 내용은 1차갑오개혁에 관한 설명입니다.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기 위해서 민비가 청에게 군대를 요청하게됩니다. 청군은 아산만으로 진입..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6번 문 16.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신문왕 7년 5월에 문무 ( ㉠ )을 지급하되, 차등을 두었다. ○ 신문왕 9년 1월에 내․외관의 ( ㉡ )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였다. ○ 성덕왕 21년 8월에 처음으로 백성에게 ( ㉢ )을 지급 하였다. ㉠ ㉡ ㉢① 관료전 식읍 민전 ② 관료전 녹읍 정전 ③ 공음전 식읍 정전 ④ 공음전 녹읍 민전 답은 2번입니다.신문왕은 신라중대 강한왕권을 상징하는 왕입니다. 기존의 신라귀족들은 토지에대하여 수조권뿐만 아니라 노동력징발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귀족들은 백성들에게 강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고 왕권을 강화하고 싶었던 신문왕은 노동력징발권을 빼앗고 수조권만을 가지는 관료전을 지급하게 됩니다. 녹읍과 식읍은 모두 수조권..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5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5번 보겠습니다. 15. 조선전기의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위도총부가 군무를 통괄하였다. ② 지방의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진관을 편제하였다. ③ 잡색군은 생업에 종사하다가 일정 기간 군사훈련을 받았다. ④ 금위영을 설치하여 도성을 수비하였다 답은 4번입니다. 조선초 태조는 의흥삼군부를 설치합니다. 이후 정종은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치하고 중추원의 군사적 기능을 흡수하여 삼군부를 개편하게 됩니다. 이후에 삼군부는 세조 때 5위도총부로 개편하여 군무를 통괄하게 됩니다. 조선초기 군대는 중앙군인 5위와 지방군인 영진군으로 나뉘게 됩니다. 중앙군인 5위는 궁궐과 서울의 수비의 기능을 하게됩니다. 5위는 의흥위, 용양위, 호분위, 충좌위, 충무위로..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4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4번 보겠습니다. 14. 괄호 안에 들어갈 국가의 도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일본이 ( )에 국서를 보냈다. “삼가 고려국왕에게 문안 인사를 드립니다. …(중략)… 보내신 글을 보니 날짜 아래 관품과 이름을 쓰지 않았고 글의 말미에는 천손(天孫)이라는 칭호를 써 놓았습니다.” -속일본기- ① 북성․중성 등 4개의 성곽으로 이루어졌다. ② 연못, 인공섬을 갖춘 월지를 동궁으로 사용하였다. ③ 나성 및 궁궐 후원에 해당하는 부소산이 있었다. ④ 직사각형의 내․외성, 주작대로를 만들었다. 해설 답은 4번입니다. 다른 선택지를 모르더라도 답이 명확합니다. 자료는 발해에 관한 설명입니다. 발해는 신라를 견제하기위해서 일본과 교류를 하였습니다. 발해의 왕을 고려국왕이라고 칭..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3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3번 보겠습니다. 13. 우금치 전투가 진행된 당시에 동학농민군이 알 수 있었던 사실로 적절한 것은? ① 정부가 개국기년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② 건양이라는 연호가 제정되었다. ③ 고종이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④ 지방제도가 23부 337군으로 개편되었다. 해설 답은 1번입니다.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민비는 청에 군대를 요청하고 텐진조약에 따라 일본군도 조선에 들어오게됩니다. 농민들도 이러한 사실을 알고 정부와 전주화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본군은 주둔명분이 사라질 위기에 놓이자 내정 개혁을 요구했습니다. 분명한 내정간섭이지만 힘이 없던 조선은 서울에 교정청을 설치해서 일본군의 철수를 요구합니다. 주둔명분이 완전히 사라지자 일본군은 흥선대원군을 섭정으로 경복궁을.. 더보기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2번 2016 국가직 7급 한국사 12번 보겠습니다. 12. 밑줄 친 ‘농서’가 편찬된 왕대의 경제생활로 옳은 것은? 각 지역의 풍토가 달라 곡식을 심고 가꾸는 법이 옛글과 다 같을 수 없습니다. 이에 여러 도의 감사들이 주현의 늙은 농부를 방문하여 실제 농사경험을 들었습니다. 저희 정초 등은 이를 참고하여 농서를 편찬하였습니다. ① 칠패 시장에서 어물을 판매하였다. ② 녹비법을 활용하여 지력을 회복하였다. ③ 고구마․감자를 구황작물로 활용하였다. ④ 시전에서 남초를 거래하였다. 해설답은 2번입니다.자료는 세종의 명에 의해 편찬된 관찬농서인 농사직설입니다. 이책은 중국의 선진적인 화북농법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조선의 실제경험을 첨가하여 조선의 기후풍토에 맞는 독자적인 농법을 최초로 정리했습니다. 조선초기의 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