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한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0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0번 보겠습니다. 10.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물로 바칠 벌꿀 한 말의 값은 본래 목면 3필이지만, 모리배들은 이를 먼저 대납하고 4필 이상을 거두어 갑니다.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이 법을 시행하면 부유한 양반 지주가 원망하고 시행하지 않으면 가난한 몽민이 원만한다는데, 농민의 원망이 훨씬더 큽니다. 경기와 강원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니 충청과 호남지역에도 하루빨리 시행해야 합니다. ①토지 결수를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②인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③이 법이 시행된 후에도 왕실에 대한 진상은 계속되었다. ④이 법을 시행하면서 관할 관청으로 선혜청을 설치하였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수취 제도 중 현물을 납부하는 공납에 관..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9번 같이 보겠습니다. 9.임진왜란 떄의 주요 전투를 벌어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ㄴ. 조선과 명나라 군대가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ㄷ. 진주목사 김시민이 왜의 대군을 맞아 격전 끝에 진주성을 지켜냈다. ㄹ.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의 수군을 격퇴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①ㄱ→ㄴ→ㄷ→ㄹ ②ㄱ→ㄷ→ㄴ→ㄹ ③ㄹ→ㄴ→ㄷ→ㄱ ④ㄹ→ㄷ→ㄴ→ㄱ 해설 답은 4번이다. 임진왜란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제이다. 조선은 200년간의 평화로 인해 국방력이 굉장히 약화 되었다. 그 이유는 군역(대립제,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이 문란해진 상황 때문이었다. 따라서 군적에 등록된 인원보다 실제 군인은 더 적은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같이 보겠습니다.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들의) 집에는 녹(綠)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①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돌무지 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④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해설 답은 4번이다. 신라에는 골품제도가 존재하였다 이 골품제도는 6세기 법흥왕부터 7세기까지 신라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족장 세력을 대상으로 편제한 제도다.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7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7번 같이 볼게요 고대국가 백제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상기하면서 보시면 좋겠습니다. 7. (가)~(라)의 시기에 해당하는 백제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 관등제를 정비하고 공복제를 도입하는 등 국가 통치체제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② (나) - 남쪽의 마한 잔여 세력을 정복하고, 수군을 정비하여 요서 지방까지 진출하였다. ③ (다) -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 일부 지역을 수복했으나 얼마 후 신라에게 빼앗겼다. ④ (라) - 복신과 도침등이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켜 사비성의 당나라 군대를 공격했다. 해설 답은 2번입니다. 문제를 풀기전에 고대국가의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맹왕국이 발전해나가면서 왕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체제를 이루게 됩니다...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6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6번 같이 보도록 할게요. 여유되는 시간에 읽어주세요. 6.개항기 체결된 통상 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조·일 통상장정(1876) - 곡물 유출을 막는 방곡령 규정이 합의 되었다. ②조·청 수륙무역장정(1882) - 서울에서 청국 상인의 개점이 허용되었다. ③개정 조·일통상장정(1883) - 일본과 수출입하는 물품에 일정세율이 부과되었다. ④한·청 통상조약(1899) - 대한제국 황제와 청 황제가 대등한 위치에서 조약을 체결하였다. 해설 정답은 ①이다 방곡령에 관해 근거가 되는 조약은 조일 통상 장정(1883)이다. 조·일 통상장정(1876)에서 무관세와 무제한적인 곡물유출을 막기위해서 조일 통상 장정(1883)을 통해 조선은 관세조항과 방곡령 조항을 얻는다...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5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5번 문제 같이 볼게요. 짬나는 시간에 읽어 주세요. 5. 밑줄 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5명의 개화당이 사건을 일으켜서 나라를 위태롭게 한 다음 청나라 사람의 억압과 능멸이 대단하였다. (중략) 종전에는 개화가 이롭다고 말하면 그다지 싫어하지 않았으나 이 사건 이후 조야(朝野) 모두 '개화당은 충의를 모르고 외인과 연결하여 매국배종(賣國背宗)하였다'고 하였다. -윤치호의 일기- ①정동구락부 세력이 주도하였다. ②일본군과 함께 경복궁을 침범하였다. ③차관 도입을 위한 수신사 파견의 계기가 되었다. ④일본 공사관이 불타고 일본군이 청군에 패퇴하였다. 해설 윤치호의 일기에서 말하는 사건은 갑신정변을 말한다. 답은 ④이다. 내부적으로 임오군란(1882)이후에 청..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4번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4번 같이 풀어 볼게요. 짜투리 시간에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4. 다음 결정문에 근거하여 실행된 사실로 옳은 것은? 조선을 독립시키고 민주국가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가혹한 일본의 조선 통치 잔재를 빨리 청산하기 위해 조선에 임시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한다. ①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②서울에서 건국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③유엔 감시 하에 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④한반도에서 미군과 소련군의 군정이 시작되었다 해설 임시정부수립을 구체화하기위해 미소공위가 개최된다는 ①이 정답이다. 일본이 2차세계대전중 우리의 그동안의 노력을 인정받아서 카이로회담(1943)에서 한국독립을 최초로 보장받는다 이후 독립 포츠담에서 독립을 재확인을 받게 됨으로써 우리는 외부적으로 독립을..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3번 2016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 3번 같이 볼게요 남는시간 이동시간에 편하게 읽으실 수 있도록 풀어서 해설하겠습니다. 3. 다음 글을 근거로 할때, 사료를 탐구하는 자세로 옳지 않은것은? 역사라는 말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만,일반적으로 '과거에 있었던 사실과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라는 두 가지 뜻을 지니고 있다. 즉, 역사는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라는 두 측면이 있다. 전자가 객관적 의미의 역사라면, 후자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라 할 수있다. 우리가 역사를배운다고 할 때, 이것은 역사가들이 선정하여 연구한 '기록의로서의 역사' 를 배우는 것이다. ①사료는 '과거에 있었던 사실'이므로 그대로 '사실로서의 역사'라고 판단한다. ②사료를 이해하기 위해 그 사료가 기록된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2번 2016국가직 한국사 2번문제 같이 보도록 할게요. 짜투리시간에 읽어주세요. 2.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즉위하여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의 관제 개혁을 추친하는 한편, 권세가들의 농장을 견제하고 소금 전매제를 실시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①만권당을 통해 고려와 원나라 학자들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②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펴하여 국정을 총괄하게 하였다 ③철령 이북의 영토 귀속 문제를 계기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다 ④기철을 비롯한 부원 세력을 숙청하고 자주적 반원개혁을 추진하였다 해설 그는 충선왕이다. 답은 ① 충선왕은 충렬왕을 잇는 왕이다 시호에서 볼 수 있듯이 충(忠)은 원에대한 충을 말한다. 그는 고려가 원의 부마국이 되면서 충렬왕과 원의 쿠빌라이칸의 .. 더보기 2016 국가직 9급 한국사 1번 오늘부터 9급 국가직 한국사 문제를 같이 볼게요. 짬나는 시간에 편하게 읽으시면 좋겠습니다. 1. (가)와 (나)에 들어갈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는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 고려 인종 때 편찬되었다. 본기 28권,연표 3권, 지 9권, 열전 10권 등 총50권으로 구성되어있다. (나)는 충렬왕 때 한 승려가 일정한 역사 서술체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저술한 역사서이다. 총 5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 설화와 불교에 관한 내용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① (가) - 고조선의 역사를 중시하엿다 ② (가) - 고구려 계승의식을 강조하였다 ③ (나) - 민족적 자주의식을 고양하였다 ④ (나) - 도덕적 합리주의를 표방하였다 해설 (가)자료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이고.. 더보기 이전 1 2 다음